본문 바로가기
etc.

절대경로 및 상대경로 개념

by dehas 2014. 1. 16.

절대경로 및 상대경로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의 www에서 서버가 있는 장소를 지시하는 방법》

 

경로에는 크게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간단히 경로는 파일을 불러올때 파일이 실제로 있는 고유주소를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123.jpg 라는 이미지파일이 있습니다. 이것이 내컴퓨터 c드라이브에 있다면..

실제로 이미지가 있는 경로는 C:\123.jpg  입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내 컴퓨터에만 있으므로 다른컴퓨터에서는 보질 못하겠죠.

그래서 웹계정에 올립니다..

 

 

만약 예를들어 내 웹계정이 http://www.내계정.com 있다면 이곳에 123.jpg 이미지를 업로드 한다면 http://www.내계정.com/123.jpg 실제 이미지가 있는 경로가 됩니다.

어떤 컴퓨터에서라도 인터넷만 된다면 위의 주소를 치고 들어가면 123.jpg 이미지를 볼 수 있겠죠.

 

http://www.내계정.com/123.jpg 이것이 절대경로 입니다.

 

 

사이트를 구축할때 한계정내에서 주로 작업을 합니다.

상대경로는 한계정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질때 적용이 가능합니다.

작업시 매번 http://www.내계정.com/작업.html 또는 http://www.내계정.com/작업/작업.html 이런식으로 절대경로로 작업을 한다면..

소스도 복잡해 보이고 소스용량도 늘어나겠죠.

또한 추후에 웹계정을 이전 할 경우 도메인에 포워딩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http://www.내계정.com 도메인을 일일이 새로운 도메인으로 소스변경을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물론 네임서버 적용하여 사용하셨다면 상관은 없겠지요.

 

 

상대경로를 사용하면 보다 편리합니다.

위의 절대경로 http://www.내계정.com 를 뺀 나머지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다시 123.jpg 절대주소를 본다면 http://www.내계정.com/123.jpg 이지만 이것을 상대경로로 변경하면 123.jpg 입니다.

단, 현재 실행할 파일이 http://www.내계정.com/파일.html 에 있다는 존재하에 성립됩니다.

 

 

예를들어 http://www.내계정.com/작업/작업.html 에서 123.jpg를 불러온다면 ../123.jpg 이 상대경로가 됩니다.

태그를 사용할 파일의 위치에서 불러올 해당 대상물을 찾아가는 방식입니다.

 

 

그럼 각 파일에서 불러올 http://www.내계정.com/123.jpg 의 상대경로는..

같은 위치에 존재한다면  ./123.jpg 또는 생략하여 123.jpg

상위폴더에 존재한다면   ../123.jpg

예)

http://www.내계정.com/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또는 ./123.jpg

http://www.내계정.com/작업1/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http://www.내계정.com/작업1/작업2/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http://www.내계정.com/작업1/작업2/작업3/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위와 같은 방식이 상대경로의 Document Root 방식입니다.

 

 

 

상대경로의 Site Root 방식은 최상위 루트에서 내려가는 방식입니다.

예)

http://www.내계정.com/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http://www.내계정.com/작업1/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http://www.내계정.com/작업1/작업2/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http://www.내계정.com/작업1/작업2/작업3/파일.html 에서 123.jpg 의 상대경로는 /123.jpg

 

보시는대로 경로가 동일합니다. 쉽게 " http://www.내계정.com/ " 를 " / " 으로 사용하신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어떻게 보면 절대경로와 같습니다.

상대폴더 루트를 계산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위와 같은 방식이 상대경로의 Site Root 방식입니다.